본문 바로가기

여자 엔지니어의 생산팀 적응기

밸브에 대해 알아보자 #210909

반응형

글을 쓰기에 앞서 이는 전문적인 지식의 함양보다 개인적으로 이해하고 

현장에서 알아먹기만 하면 된다라는 식으로 이해했음을 알려드립니다.

 

 

 

 

 

1. 게이트 밸브

  block valve의 일종입니다. 

  block valve란 뜻 그대로 막았다 닫았다를 할 수 있는 밸브를 의미합니다.

 

  제가 봤던 게이트 밸브는 핸들을 돌려서 열고 닫을 수 있는 밸브였는데요, 주로 컨트롤 밸브의 앞뒤에 존재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컨트롤 밸브란 섬세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이기에 그 앞뒤에 붙어있는 밸브는 흐름을 열고

  닫고의 기능만 수행하면 되기에 게이트 밸브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또한 게이트 밸브의 구조를 살펴보면 핸들 부분 이외에 stem이라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나사산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이러한 stem이 나와있으면 open 되어있는 상태, 들어가 있으면 닫혀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첨부된 그림을 예시로 하면 현재 valve가 닫혀있는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2. 글로브 밸브

  섬세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의미합니다. 위의 게이트 밸브와 달리 일직선이 아닌 물결모양으로 된 부분이

  보이시나요? 글로브 밸브는 유량조절이 된다는 점에서 단순히 개폐를 조절하는 게이트 밸브나 볼 밸브와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화학공장을 설계를 한다면 main stream에는 gate valve, control valve, gate valve순으로 설치를 하고 by-pass line에는

  globe valve를 설치합니다. by-pass line도 똑같이 설계한다면 좋겠지만 원가를 절감하고 효율을 살려야 하는 공장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기능을 살리되 가격을 절약할 수 있는 globe valve하나만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3. 볼 밸브

   게이트 밸브와 비슷하지만 밸브 안의 개폐장치가 공 모양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 또한 핸들을 통해 열고 닫고를 할 수 있는 밸브이고 완전한 폐쇄가 가능한 밸브입니다.

  

 

 

 

4. 세이프티 밸브

   공정에서 중요한 것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간혹 공정 진행 중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하       는데요, 이렇게 배관이나 압력용기에서 세이프티 밸브의 스프링 설정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할 경우 스프링을 밀     어내면서 압력을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safety valve입니다.

   그림으로만 봐도 스프링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겠죠?

   

   일반적으로 safety valve에서 터져 나온 불필요한 폐가스나 가연성 가스는 flare stack이라는 연소장치로 보내져 

   대기 중에 방출되기 전 연소 처리됩니다.

   

 

 

   

5. 버터플라이 밸브

   주로 공정에서 사용하는 깨끗한 물을 다루는데 많이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한 방향으로 열고 닫는 기능을 합니다.

  섬세한 유량조절은 불가능하며 완전한 개폐도 이뤄지지 않습니다. 위의 밸브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값이 저렴합니다.

 

 

 

6. 체크 밸브

   흐름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입니다. 도면에 표현방식은 알파벳 N 식인데 모양에 따라서 흐름이       어느 쪽으로 이뤄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7. 컨트롤 밸브

출처. 삼웅금속

   앞서 말했던 게이트 밸브 사이에 존재하는 밸브입니다. 컨트롤 밸브는 섬세한 유량조절이 가능하며 비상시 

   (emergency) 유용한 밸브입니다. 모양은 위와 같이 생겼는데 아래로 공기를 주입하는 라인이 있으면 아래가 부풀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가운데 있는 박막이 위로 올라가 open 되어 있습니다.

  

   만약 반대로 위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라인이 있다면 박막이 아래로 내려가 있어 close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위 그림은 위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네요. 옆에 얇은 관이 보이시나요?

 

   컨트롤 밸브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emergency상황에서 좋은 밸브인데요, emergency상황(정전이 되어 전기가

   끊기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공기가 주입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올라가 있던 박막은 아래로 내려오고 내려와 있던

   박막은 위로 올라가서 open 되거나 close 됩니다.

 

   이때 유체를 차단해야 안전할지 유체를 그냥 흘려보내야 안전할지를 파악하고 상황에 맞춰 필요한 타입을 선택하는 

   것이 엔지니어가 할 일입니다. 


8/1일에 입사하여 8/12일에 공장 배치를 받은 후 쓰는 병아리 엔지니어의 기록지입니다.

혹시라도 틀린 부분이 있거나 더 알려주고 싶은 부분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에는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적 신호의 종류와 내용에 관해 들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안녕!

반응형